
부부가 각 방을 써야 할 정도로 남편이 심하게 코를 곤다면 아내가 가장 먼저 짚어보아야 할 일은 혹시 자다가 숨을 멈추는 일은 없는지 살펴보는 것입니다. 혹시 한밤중에 남편이 갑자기 숨을 뚝 멈추고 10~20초 정도 그대로 있다가 다시 “푸~~” 하는 소리와 함께 숨을 회복하는 것을 본 적이 있나요? 그 후 몇 분쯤은 잠잠 하지요? 그러다가 다시 숨을 뚝 그칩니다. 이런 일이 자주 반복되는 증상이 바로 수면무호흡증입니다.
수면무호흡증은 정도가 심각한 남성 코골이에게서는 대부분 발견됩니다. 여성의 경우에는 약한 코골이나 아예 코를 골지 않는 사람에게서도 나타날 때가 있습니다. 의학적으로는 10초 이상 지속되는 수면무호흡이 한 시간에 2, 30회 이상 발견되면 치료가 필요한 중증 수면무호흡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사실 심한 코골이라고 해도 그 당사자는 기껏해야 밤에 자는데 숨쉬기가 불편한 정도입니다. 오히려 주변 사람들이 입는 피해가 더 크지요. 하지만 수면무호흡증은 전혀 다릅니다. 우리가 호흡을 하면 허파에서는 공기 중의 산소가 피 속으로 들어가고 반대로 이산화탄소는 밖으로 빠져나옵니다. 그래서 허파에서 산소를 가득 머금은 피는 심장으로 이동했다가 동맥을 타고 전신에 퍼져서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모든 세포조직들에 산소를 공급합니다.
그런데 수면 중에 1, 20초 동안 수면이 멈추었다고 가정해봅시다.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허파에서 그동안 산소를 제대로 공급받을 수 없으니 산소포화도가 크게 떨어집니다. 그러면 몸 전체에서 산소부족 현상이 발생해서 모든 세포들에서 비상이 걸립니다. 영화에 나오는 살인사건에서 피해자가 목이 졸려서 죽는 현상이 바로 산소포화도 저하 때문인데 그 초기 증상이 수면무호흡 시에 나타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수면무호흡을 겪는 당사자는 그 때마다 10여 초씩 목이 졸렸다가 풀어졌다가를 반복하는 셈이 됩니다.
그렇게 하룻밤에도 수십 번씩, 또는 백여 번씩 목이 졸렸다가 풀어졌다가 하는 일이 벌어졌다고 생각해봅시다. 우리 몸에서 가장 피해를 보는 기관은 어디일까요?
바로 산소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심장과 두뇌입니다. 먼저, 심장은 1년 365일 하루 한시도 쉬지 않고 운동을 해야 하는데 산소공급이 충분치 않으면 심장박동이 이상이 초래되고 심장 내에 피가 고이는 심부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핏속의 산소농도 부족으로 더 많은 피를 전신으로 보내어야 하니 고혈압이 유발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겠지요. 이렇게 과로에 시달리는 심장은 어느 날 갑자기 아예 멈출 수도 있습니다.
다음으로, 뇌는 무게가 1.2 Kg 정도에 불과하지만 몸에서 사용하는 전체 산소량의 약 20%를 소비합니다. 그만큼 산소에 예민한 기관인데 하룻밤에도 수십, 수백 차례나 수면무호흡증에 시달리다보면 자연히 일부 신경세포가 사멸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기억력 저하, 집중력 부족과 감퇴에 따르는 갖가지 부작용들, 예컨대 아직 학생이라면 산만한 행동과 학습능력 저하, 직장인이라면 정신적 혼란에 따른 멍한 상태와 만성적 두통의 지속, 낮 동안 과도한 졸림 등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그뿐만이 아니지요. 각종 호르몬의 생산과 분비에도 상당한 혼란이 초래되어서 우리 몸의 물질대사가 제대로 진행될 리가 없고, 그러면 자연히 면역력이 크게 떨어져서 각종 질병에 걸리기도 쉽습니다. 유독 감기와 알레르기에 자주 시달리고 비염을 비롯한 크고 작은 질병을 달고사는 남편이라면 혹시 수면무호흡증은 아닌가 생각해 보십시오. 아직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이 수면무호흡증에 시달린다면 키가 제대로 크지 않을 수도 있고 과체중과 저체중이 찾아올 수도 있습니다.
젊은 부부들에게는 특히 성생활이 중요하지요? 그런데 남편이 수면무호흡증에 시달리면 성욕을 자극하는 성호르몬의 분비에 이상이 생길 확률이 높습니다. 남편이 코를 심하게 골면서부터 성생활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떨어졌다면 십중팔구 그 원인을 수면무호흡증에서 찾아야 할 것입니다.
사실 우리가 심한 코골이를 반드시 치료해야 한다는 것은 바로 이 수면무호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입니다. 심한 코골이 환자들 대부분이 알게 모르게 수면무호흡증에 시달리고 있으니 뭉뚱그려서 코골이를 바로 잡자고 말하는 것이지요.
혹시 이 연재에서 궁금한 점이나 아니면 보충을 요하는 부분이 있으면 서슴없이 댓글을 남겨주시기 부탁드립니다. 세민수면건강센터(cpapkr.kr)을 치셔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가실 수도 있고 또는 직접 전화를 주셔도 좋습니다(1670-7355).